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26 13:21:5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사알림
 
뉴스 > 사회
경북도, 숨겨진 독립운동가 발굴에 가시적 성과
올해 상반기에만 58명 발굴, 유공자 서훈 신청 30명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21년 08월 09일(월) 23:46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했지만 기록이 현존하지 않거나 자료가 부족해 아직까지 국가로부터 서훈을 받지 못하고 묻혀 있던 독립운동가 58명을 올해 상반기 추가로 발굴해 이 중 30명을 국가보훈처에 서훈 등 포상을 신청했다고 9일 밝혔다.

경북은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지역으로 독립유공자가 2천34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아직도 그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독립운동가가 많이 존재한다.

이에 광복 이후 76년이 지난 지금까지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유공자를 발굴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발굴과 조사 작업을 벌였으며, 지난해에는 총 81명을 발굴해 국가보훈처에 37명을 포상 신청했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58명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에 포상을 신청한 독립운동가는 3.1운동에 나섰던 김응상(金應相, 영덕, 1880∼미상) 등 영덕(13명), 봉화(6명), 문경(4명), 예천(2명), 경주·청송·청도·포항(영일)·경산(1명)이며, 이들의 독립운동 내용은 3.1운동 22명, 국내항일 6명, 사회주의운동 1명, 학생운동 1명 등이다.

한편, 지난해 신청자 중에서‘1944년 8월 충남 조치원역과 천안역 사이의 북행열차에서 조선총독부의 강제 공출과 조선인 청년에 대한 징병 등을 비판하고 9월 강제징병을 거부하다 체포돼 징역 3년’을 받아 옥고를 치른 구미 출신의 김구하(金龜河, 1924∼미상) 선생이 건국포장을 추서 받는 등 5명이 독립유공자로 선정됐고, 나머지는 현재 국가보훈처의 심사가 진행 중에 있다.

정진영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관장은 “앞으로 지속해서 경북의 독립운동가를 찾아내어 당당히 독립운동가로서 후세에 길이 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진현 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은 “독립운동의 성지인 경북에서 적극적으로 독립운동가들의 공적을 찾아 그 얼을 기리고, 나라사랑과 희생정신을 보훈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우리의 밝은 미래, 독도야 우리가 지킬게..
고령군, 금연협의체 회의 개최..
자기 주도적 진로 개발 역량 강화한다..
참외 담배가루이, 예찰과 초기방제 당부..
칠곡군,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교육..
성주군 수륜면, 5월 이장회의..
공공데이터 품질 한 단계 더 높인다..
교통·통신 인프라 구축…안전하고 편리한 축제..
성주 벽진면, 벽진초 플로깅 행사 격려..
성주군, 농림축산식품부 긴급 방문..
최신뉴스
고령지체장애인협회, 성금 기탁..  
고령군장애인복지관, 차량 지원받아..  
감염병은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  
동고령산단 외국인근로자 한국어 교육..  
고령군, 마른논 써레질 재배단지 조성현장 시연회..  
공공데이터 품질 한 단계 더 높인다..  
소비자 입맛 사로잡는 감자 맛보세요..  
회연서원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성주군, 귀농인 정보화활용 기초교육 개강..  
신비한 참외나라…참외힐링공원”..  
성주 월항면 용각2리 별고을 빨래방 운영..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성주군협의회. 경북 산불피해 복구 성..  
성주 벽진면, 벽진초 플로깅 행사 격려..  
(재)고령문화관광재단 임원 공개모집..  
성주참외가요제 위상 업그레이드..  

신문사소개 편집규약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상호: 경서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0-81-33593/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순환로 271-3 / 발행인.편집인: 이찬우
mail: cwnews@hanmail.net / Tel: 054-933-0888 / Fax : 054-933-089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2305
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