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주군, 벼 돌발해충 먹노린재 긴급방제
수륜면 벼 재배지역 일대 무인헬기 이용해 방제나서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21년 07월 06일(화) 14:03
|
성주군은 최근 사전예찰 결과 먹노린재 다발생 지역에 해충이 발생됨에 따라 지난 5일 수륜면 남은리, 보월리, 오천리, 작은리 일대 벼 재배지역 200여 ha에 대해 무인헬기를 이용해 먹노린재 긴급방제를 실시했다.
먹노린재 방제 적기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으로 제때 방제하지 못하면 개체수가 급속히 증가해 8월 중순 이후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특성상 월동하여 내년 농사에도 큰 피해를 줄 우려가 있어 신속한 방제가 필요하다.
먹노린재는 흡즙성 구기를 가진 해충으로 겨울에 산기슭의 낙엽 밑이나 제방, 논둑의 고사된 잡초 속에서 월동 하다가 성충이 6월 초부터 논으로 이동해 7월 상순에 발생한다.
벼 포기 아래 부위에서 줄기를 흡즙하고 흡즙부위는 색이 퇴색하고 흡즙 부위에서 자란 잎은 중간이 말라 윗부분이 말라 죽는다. 이삭 팬 직후에 피해를 받으면 쭉정이 또는 반쭉정이가 되고, 벼가 여물 때 피해를 받으면 반점미가 된다.
성주군 농업기술센터 김명원 소장은 “먹노린재 적기 방제 실시와 더불어 다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예찰을 실시하여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며 “긴급방제지역 외에도 먹노린재 피해 및 도열병, 혹명나방 등 후기 병해충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의 자발적인 병해충 예찰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농업기술센터는 벼 병해충 사전방제를 위해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10개읍·면 1524ha에 대해 살균제·살충제 각 1종을 지원할 계획이다.
|
|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