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시대 칠곡 종갓집 설 풍경
음복도시락·테이크 아웃 식혜 등장
보통 50여명, 올해는 4명만 차례 올려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21년 02월 23일(화) 11:44
|
|  | | ↑↑ 설날인 지난 12일 칠곡군의 한 종갓집 사당에서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지침을 준수한 가운데 마스크를 착용한 성인 남성 4명이 거리를 띄우고 차례를 올리고 있다. | ⓒ 경서신문 | | “5인 이상 집합금지 지침에 따라 설날 차례는 4명만 모여서 단출하게 지냈습니다” 설날인 지난 12일 경북 칠곡군의 한 종갓집 사당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한 성인 남성 4명이 거리를 띄우고 차례를 올렸다.
조선 중기 공조참의를 지낸 석담 이윤우 선생의 16대 종손인 이병구(68·칠곡군 지천면) 씨네 설날 차례 풍경이다.
이 씨 종갓집은 지난해 설날에는 사당입구까지 사람들로 가득 찼으나 이날은 적막감마저 감돌며 강아지 짖는 소리가 유달리 크게 들려왔다.
방문하는 친척이 줄어들자 혼자 제사상에 올릴 음식을 사당으로 나르는 아들의 손길은 더욱 바빠졌다.
또 종갓집 입구에는 손소독제가 마련되어 방문객들은 손 소독을 하며 방역 지침을 준수했다.
이 씨는“보통 설날이면 50여 명이 모였으나 올해는 인근 지역의 아들과 한 동네에 살고 있는 친척 등 4명만이 모여서 차례를 올렸다”며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사전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협조와 양해를 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차례를 올리는 제관의 숫자만 준 것이 아니다. 차례를 지낸 후 종친들과 사랑방에서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덕담을 주고받는 음복마저도 도시락으로 대체했다.
음식을 차려내지 않고 각자 집에 돌아가서 먹을 수 있게 ‘음복 도시락’을 별도로 준비한 것이다.
이름도 생소한 음복 도시락에는 전, 강정, 과일, 유과, 약과, 생수 등이 담겨있다.
이 씨는“제사에 있어 음복의 예가 마지막 순서지만 코로나19 때문에 부득이하게 도시락으로 각자 집에서 음복하는 방법을 택했다”며“조상님들도 이런 사정을 충분히 이해해 주실 것”이라고 했다.
이날 이 씨는 음복 도시락과 함께 테이크 아웃 식혜와 수정과도 선보였다.
각자 집에서 차례를 지낸 후 종갓집 사당으로 참배로 오는 마을 종친들을 위해서다 참배를 마친 종친들과 일일이 인사를 나눈 후 수정과와 식혜가 담긴 컵을 건넸다.
아무리 코로나 예방도 중요하지만 참배를 마친 종친들을 매정하게 빈손으로 돌려보낼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 씨는“부모의 생명과 자신의 건강을 위한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 코로나19 시대의 효도”라며“모든 국민들이 설 명절 연휴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 동참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
|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