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7-23 15:47:0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사알림
 
뉴스 > 사회
적기 모내기로 고품질 쌀 생산
성주지역 모내기 적기는 5.20∼6.15일
성주군, 못자리 관리·적기 모내기 당부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19년 05월 07일(화) 16:39
ⓒ 경서신문
성주군은 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벼종자소독 철저 및 못자리 관리와 이앙 적기에 모내기를 실시할 것을 당부했다.

최근 벼 육묘기간 중 주·야간 일교차가 커서 모의 저항력이 약하되어 입고병, 뜸묘 발생이 증가할 우려가 있어 못자리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못자리 관리를 위해서는 이랑 면을 고르게 하고 물도랑을 설치해 이랑 면 2∼3cm아래까지 물을 대줘야 하며 야간 이상저온 시 물깊이대기, 부직포 비닐피복 등 보온관리를 해줘야 한다. 부직포를 벗기는 시기는 이앙전 7∼10일경으로 일찍 벗기면 저온피해, 늦게 벗기면 고온피해와 모가 연약하게 자라므로 적기에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성주지역에 알맞은 모내기 적기는 5.20∼6.15일경이다.

너무 일찍 모내기 할 경우 무효분얼이 많아져 병해충 발생이 늘어나며, 고온기 등숙에 따른 호흡량 증가로 벼알의 양분 소모가 많아지고 금간 쌀이 늘어나 미질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너무 늦게 모내기 할 경우 충분한 영양생장을 하지 못하여 수량이 줄어들고 뿌리가 깊이 박히지 않아 도복되는 등 미질이 떨어지므로 적기모내기를 농가에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최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건강한 못자리 관리와 적기 모내기의 실천이 중요하고,밑거름은 질소 기준으로 10a당 7kg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특히, 일품벼의 경우 도열병이 심하고 삼광벼의 경우 도복에 약해 과비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주군농업기술센터 김정애 소장은 “성주군에서는 올해 벼재배면적의 85%에 해당하는 고품질 벼 우량종자를 130여톤 공급했다. 지난 1월에 실시한 새해농업인실용교육을 비롯해 올바른 벼종자소독 요령 등 시기별 맞춤 교육과 현장지도를 통해 품질로 인정받는 성주군 명품 쌀 생산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주=이춘화 기자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장애인복지관 고령분관 이용자 인권교육..
고령군, 메타버스 활용 초교생 도로명주소 교육..
사회적 고립 및 자살 예방에 힘 쏟는다..
고향사랑 실천하는 기업들. 칠곡군에 고향사랑기부금 기탁..
고령군, 민선8기 3주년 맞춰 주요 사업장 방문..
호국보훈의 달, 6.25 참전용사 위문..
고령군, 국립대가야박물관 설립 위한 협의..
교복 입고 떠나는 시간여행..
텃밭서 자연도 배우고, 성취감도 느끼고..
복지사각지대 없는 성주만들기..
최신뉴스
호국보훈의 달, 6.25 참전용사 위문..  
성주군 통합건강증진사업 ‘최우수’..  
성주군, 행락질서 종합대책 보고회..  
성주군 장애인단체, 축구경기 관람..  
성주군, 고품질 취나물 재배기술 교육..  
성주군, 35세 이상 산모 대상 의료비 지원..  
농협성주군지부, 대학생봉사단과 농촌일손돕기..  
첨단 농기계 산업의 미래, 칠곡에서 시작..  
새마을문고 성주군지부, 문학기행..  
바닥분수 속 삼남매의 시원한 하루..  
칠곡군, 여성친화도시 조성..  
칠곡 벤치마킹 부른 진짜 팀워크..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사업 확대..  
성주 한우농가 선진지 견학..  
성주군, 종량제봉투 공급 전용시스템 도입..  

신문사소개 편집규약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개인정보취급방침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상호: 경서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0-81-33593/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주순환로 271-3 / 발행인.편집인: 이찬우
mail: cwnews@hanmail.net / Tel: 054-933-0888 / Fax : 054-933-0898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2305
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