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군 조직 2∽3개 국 체제 가닥
국 체제 편성 시 장점 최대한 살리는 운영 필요
2개 국 개편 시 읍장 직급 현 서기관 유지 가능
고령 이상우 기자 / 입력 : 2018년 08월 17일(금) 13:46
|
기존 실과 중심의 행정조직을 국 체제로 전환하는 기초자치단체의 조직개편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군이 최근 행정안전부로부터 3개 국 신설이 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음에 따라 고령군의 조직개편 방향이 유동적으로 흐르고 있는 모양새다.
고령군의 최근 2개 국 신설을 기본으로 하는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군 본청 각 실과소를 지원부서와 사업부서로 나눠 각 국에 5∽6개 실과를 두고, 기존 기획감사실은 부군수 직속으로 두는 안을 추진해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행안부에서 고령군의 경우 행정수요 증가를 예상해 3개 국 신설이 가능하다는 통보를 해옴에 따라 행정개편 방향이 다소 유동성을 띄게 됐다.
고령군 관계자는 “고령군은 기본적으로 2개 국을 신설하는 방안을 두고 조직개편을 추진해왔으나 최근 3개 국 신설이 가능해짐에 따라 조직개편 방향에 다소 유동성이 발생했다”면서 “기존 2개 국으로 조직개편을 추진할 경우에도 읍장 직급의 경우 지금처럼 4급 서기관으로 둘 수 있어 결국 서기관 한 자리가 더 생기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또 국 체제 개편 시기와 관련 이 관계자는 “국 체제 개편에 대한 시한이 딱히 정해진 것이 없고 고령군의 경우 한시적 부서인 문화유산추진단의 시한이 끝나는 올 연말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고령군의 국 체제 조직개편과 관련 공직자 내에서 장점과 단점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고령군 공직자 A씨는 “현재의 고령군 상황에서 국 체제로 운영될 경우 결제라인이 한 단계 더 발생하고 이로 인해 오히려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 “뿐만 아니라 단계별 회의 등으로 인한 시간낭비 등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우려와 관련 또 다른 고령군 공직자 B씨는 “현 조직에서 국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할 경우 대규모 비용이 소요되는 사업이나 상당수 주민들이 관심을 가지는 사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안에 대해서는 국장 전결을 통해 국장의 권한과 책임을 대폭 늘리는 방안이 나와야 국 체제의 행정능률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특히 각 국장이 국 체제를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조직개편의 승패를 판가름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고령군 관계자는 “기존 군 조직이 국 체제로 개편될 경우 국장의 마인드에 따라 조직의 효율성에 큰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또한 국 체제에서는 국장의 책임과 권한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했다.
한편 앞으로 고령군의 조직이 국 체제로 개편될 경우 상대적으로 부군수의 역할이 감소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높아 부군수 체제의 변화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
고령 이상우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