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진!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성주경찰서 수사과 경장 박주희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16년 10월 11일(화) 15:49
|
 |  | | ↑↑ 성주경찰서 수사과 경장 박주희 | ⓒ 경서신문 | 추석연휴를 앞둔 9월12 한반도 최강의 진도 5.8의 강진이 발생했다.
적지 않은 시민들이 놀랐으며, 그로부터 경주지역은 추석연휴 내내 300회가 넘는 여진으로 지진의 공포를 안고 불안한 추석연휴를 보내야 했고, 9월19일 저녁에는 강도 4.5의 지진으로 또 한 번 경주를 비롯한 경북지역 멀리 서울까지 진동을 느끼는 지진의 공포를 실감해야만 했다.
9월28일 오후 진도 3.1까지 440여회가 훌쩍 넘는 여진으로 경주를 비롯한 인근 포항, 부산 시민들의 지진공포는 현재까지 진행형이다.
이웃나라 일본의 일로만 여겨지던 지진피해가 지금 우리 앞에 현실로 일어나면서 지진발생에 따른 대피지침을 제대로 알아야 할 정도로 그 불안감은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건물의 내진 설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문제는 차지해 두고라도 일상에 직접적인 지진대피 요령이나 지진발생시 필요용품 등 실용적인 정보를 정부에서는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강진이 발생했을 당시 지진대피 요령을 알고자 하는 시민들이 많았으며 포털사이트 인기검색어 상위에 오르기도 했다.
지면을 통한 대피요령에 대한 보도가 있었지만, 과거 민방위 훈련에 따른 대피요령 수준의 홍보였고 최초 강진이 발생하고 다음날에는 기존의 지진대피 요령이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TV보도는 지진을 제대로 경험해보지 못한 우리 국민들 대부분에게 혼돈으로 다가온다.
일례로 일본의 경우 지진 발생시 가정, 학교, 회사, 지하철, 대형건물 등 발생장소에 따른 대피요령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과 훈련이 반복적, 일상화되어 있는 반면 지진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그에 대한 매뉴얼의 디테일에서는 뒤쳐져 있다는 것이다.
‘사후약방문’식의 조치라 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국민 개개인의 안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적소에 제공하는 것은 정부나 주무부처가 해야 할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