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고을 단상…발행인 이찬우
다 함께! 힘찬 새 성주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16년 07월 27일(수) 14:00
|
|  | | ↑↑ “희망의 촛불”
대한민국의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지난 22일 밤 사드배치 철회 촛불문화제에 참석한 한 주민이 촛불을 높이 들고 있다. | ⓒ 경서신문 | |
차리리 꿈이었으면….
“아직도 이게 꿈인 것 같다. 아니 꿈이었으면 좋겠다. 이같은 현실이 믿어지지 않는다”
지난 13일 정부가 사드 배치지역으로 성주군을 확정 발표한 지 2주가 지났다. 하지만 성주군민들의 평온했던 일상생활은 13일자로 멈춰버렸다.
아무런 준비없이, 아무런 상의 없이 정부에서 날린‘사드’라는 날벼락이 성주군을 초토화시키고 말았다.
거리 곳곳에는 사드 배치 철회를 주장하는 현수막이 내 걸렸다. 평소 구경하기 힘들었던 경찰버스도 시시때때로 진을 치고 있다.
성주군민들이 뽑은 선출직 지도자들이 단식도 하고, 혈서도 쓰고, 머리카락도 잘라버렸다.
이를 지켜보는 군민들도 생업을 포기하고 결사항쟁에 돌입했다.
벌써 ‘국무총리 계란항전’, ‘서울역 평화 상륙작전’, ‘새누리당과 저승사자’로 이어지는 3번의 전쟁을 치렀다.
이 과정에서 외부세력과 공안몰이, 믿고 찍었던 새누리당의 행보에 성주군민들은 울분을 토해야 했다.
그래도 지방언론에서는 중앙언론의 논조와는 달리 성주군민들의 의로운 투쟁을 정확·정직하게 보도하고 있어 성주군민들의 사드배치 반대운동에 힘을 보태고 있어 다행한 일이다.
성주군민들은 이제 어둠이 깔리면 군청 앞마당으로 모이는 게 벌써 일상생활이 된 것 같이 자연스럽다. 촛불하나에 희망을 품고 ‘사드철회’라고 목이 터져라 외친다.
그렇다. 지혜로운 성주군민들은 벌써 전선의 흐름을 파악했다. 전열을 정비하고 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전방위로 뛰고 있다.
성산을 지키자
‘다 함께! 힘찬 새 성주’성주군 슬로건이다.
이 슬로건처럼 성주군민들이 사드라는 괴물을 물리치기 위해 하나로 뭉치고 있다. 성주인이 언제 이렇게 하나로 뭉친 적이 있었나?
2주 동안 성주인들의 변화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먼저 뛰어 들고 있다.
촛불문화제 자유발언에서, 1318단톡방에서 좋은 의견이 나오면 투쟁위는 즉각 실행에 옮기는 등 투쟁위는 앞에서 끌고, 군민들은 뒤에서 밀어주고 그렇게 힘들지만 서로가 서로를 위로하며 조화롭게 하루, 하루 투쟁하고 있다.
때로는 사소한 의견 차로 목소리가 높아질 때도 있지만 그것도 잠시 다른 의견도 존중해 주며 험한 파도를 헤쳐나가고 있다. 목표는 오직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기 자신밖에 모를 줄 알았던 지역의 젊은이들과 여성들이 두 팔을 걷고 나서 투쟁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성주는 역시 인재의 고을이었다. 숨어있던 인재들이 성주군의 위기에 얼굴을 내밀고 자신의 의견과 투쟁의 방향을 서슴없이 개진하고 있어 투쟁의 범위가 다양해 졌다.
인간의 양심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인 종교계도 사드배치 반대운동에 힘을 보태고 있어 지 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반대운동 확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목을 죄어오는 외부의 적보다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내부분열이다.
당장 결과가 나오지 않아도 믿어 주고, 안아주며 성산을 지켜내자. 다 함께! 힘찬 새 성주를 열어가자.
중앙 정부〈 지방 정부
대한민국에 불통 대통령이 있다면 성주군에는 소통 군수가 있다. 대한민국에 국민의 의견을 무시하는 국회가 있다면 성주군에는 군민의 의견을 존중하는 성주군의회가 있다.
대한민국에 자주권을 스스로 포기하는 국방부가 있다면 성주군에는 지역안보를 굳건히 하고 있는 막골부대가 있다.
대한민국에 공안몰이를 하는 경찰청이 있다면 성주군에는 지역치안을 책임지는 성주경찰 서가 있다.
대한민국에 사드가 안전하다고 말하는 교육부가 있다면 성주군에는 주말에도 학생들을 걱정하는 성주교육지원청이 있다.
대한민국에 종북몰이에 앞장서는 보수언론이 있다면 성주군에는 지역민을 대변하는 3개 지역신문이 있다.
대한민국에 엄마부대와 댓글부대가 있다면 성주군에는 참외아줌마와 성주사랑방·1318단톡방 부대가 있다.
그렇다. 이렇게 성주군민들은 인구 5만의 작은 지방자치단체이지만 민주주의에 입각해 나름대로 법과 규범을 지키며 각자 주어진 업무에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있다.
성주군의 지방정부가 대한민국의 중앙정부 못지 않게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말이다.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안이라도 중앙정부는 최대한 주민 동의를 얻는 등 적정절차를 거치지 않고 밀실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해 통보하는 방식은 분명 시대착오적이다.
사드 논의 시작부터 협의과정, 배치 결정까지 전 과정에서 국민은 철저히 배제됐다.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될 일이다. 그 후폭풍 또한 대한민국 정부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
|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