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라국, 대가야 나들이 나서다
대가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과 기획 전시
경서신문 기자 / 입력 : 2016년 04월 14일(목) 11:11
|
 |  | | ⓒ 경서신문 | 대가야의 옛 도읍 고령군에서 제주 섬 문화의 진수를 담은 특별전 ‘탐라의 대가야 나들이’가 대가야체험축제 개막일인 지난 7일부터 시작해 오는 7월 31일까지 열린다.
제주의 독특한 문화와 아름다운 자연을 소개하는 이번 전시는 대가야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으로 기획했다.
아름다운 섬, 제주의 사람들은 자연의 여유 속에 감춰진 화산섬의 척박함을 견디며 탐라문화를 꽃피웠다.
특별전 ‘탐라의 대가야 나들이’는 제주 섬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크게 4개의 주제로 나눠 소개한다.
1부 ‘화산섬, 제주’에서는 화산활동이 만들어낸 척박한 환경에서 생명수를 얻기 위해 용천수가 솟는 곳에 마을을 이루고, 물을 구하는 풍습을 보여주며, 물허벅과 촘항이 전승돼 환 경을 극복하는 제주인의 생활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2부 ‘섬나라, 탐라’에서는 화산섬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이래 나라를 세우고 발전해가는 탐라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신석기시대 유적인 고산리유적의 화살촉과 제주에서는 흔치않은 패총유적인 곽지리 패총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조선시대에 그려진 지도인 탐라순력도 등에서 탐라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3부 ‘제주섬의 자연과 문화’에서는 제주의 말 문화를 보여주는 말총공예품, 제주해녀의 강인함이 묻어나는 해산물 채취도구와 해녀복, 자연환경을 활용해온 제주의 돌문화, ‘표해록(漂海錄)’과 ‘하멜표류기’ 등 ‘표류’와 관련된 조선시대 문헌, 제주의 아름다운 풍광을 영상으로 제작한 영주십경(瀛州十景)을 경험할 수 있다.
4부에서는 에필로그로 흑백 사진의 음영이 만들어낸 멈춰진 제주의 시간들을 감상하며 전시가 마무리된다.
화산활동이 만들어낸 한라산과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은 이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돼 보존되고 있다.
고령 지산동 대가야고분군,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등 가야의 문화유산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준비가 시작됐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제주도도 여기에 힘을 보태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응원하게 된다.
곽용환 고령군수는 “이번 전시는 제주 문화유산의 특별한 아름다움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꾸몄으며, 이를 계기로 고령군과 제주특별자치도, 대가야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이 문화협력의 동반자적 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했다.
|
|
경서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