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곡 1억3천만년 전“공룡이 살았다고….”
칠곡 나무고사리 화석 기원암반 90년동안의 미스터리 해결
나무 고사리 화석 134점+국내 가장 오래된 공룡화석 발견
1억3천만년 전 나무고사리 숲 형성+용각류 공룡서식 추정
중생대 생태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고 화석산지 기대
칠곡 이찬우 기자 / 입력 : 2015년 01월 26일(월) 16:13
|
|  | | ↑↑ 나무고사리 화석 | ⓒ 경서신문 | | |  | | ↑↑ 공룡 화석 | ⓒ 경서신문 | | 칠곡군은 학계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나무고사리 화석 기원암반을 종합학술조사 및 표본조사 용역을 통해 90년 만에 확인하고, 금무산 일대 천연기념물 지정구역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나무고사리 화석들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공룡화석을 발견해 과거 1억3천만년 전 칠곡군 일대에 나무고사리 숲이 있었고, 이를 먹고사는 용각류 공룡이 함께 살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칠곡 왜관읍 낙산리에 위치한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1925년 일본인 학자인 다테 이와가 최초로 화석을 발견하고, 1962년 화석산지로는 국내 최초로 금무산 일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하지만 그동안 나무고사리 화석의 정확한 분포 현황과 산출 암반을 알 수 없었고, 이는 학계에서 90년 간 해결하지 못한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
이에 칠곡군은 화석산지의 효율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나무고사리 화석 분포현황과 기원을 파악하고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지난 23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종합학술조사 및 표본조사 용역 완료 보고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칠곡군에 따르면 이번 조사를 통해 학계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나무고사리 화석 기원암반을 90년 만에 확인했으며, 발견된 나무 고사리 화석은 모두 134점으로 금무산 일대 천연기념물 지정 구역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무고사리 화석 이외에 공룡 화석과 이매패류, 복족류, 고사리잎 화석이 추가로 발견돼 지질학적 자료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 관계자는 “나무고사리 화석들과 공룡 화석이 한 지역에서 산출된 것은 과거 1억3천만년 전 칠곡군 일대에 나무고사리 숲이 있었고, 이를 먹고사는 용각류 공룡이 함께 살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증거로 국내 처음으로 기록된 사례”라고 했다.
특히 “공룡 화석은 갈비뼈의 크기와 형태로 볼 때, 네 발로 걷는 목 긴 초식 공룡(용각류)으로 추정된다”며 “이번에 발견된 공룡 화석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가 발굴을 통한 학술조사를 실시할 경우 칠곡군의 이름을 딴 새로운 공룡 화석으로 판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덧붙였다.
나무고사리 화석이 암반에서 발견된 것은 외국에서도 보고된 사례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칠곡군 관계자는 “이번 발견으로 나무고사리 화석의 산출 양상과 퇴적 과정, 화석화 과정, 보존 특성 등을 규명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토대로 화석산지의 체계적인 문화재 관리와 보존 전략, 화석산지의 보다 적절한 활용 계획수립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칠곡군은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존 조치와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국내 유일의 나무고사리 화석 지질명소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 및 교육자원화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진주교육대학교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 김경수 교수는 “기존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는 식물 진화 및 분포 등의 생물학적 자료로서 가치를 지녔다”며 “이번에 발견된 척추동물 골격 화석과 다양한 종류의 화석으로 인해 중생대 생태계를 한 곳에서 엿볼 수 있는 국내 최고의 화석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칠곡 이찬우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