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노선 교통대란 현실화되나
(주)경일여객 고령군에 폐업허가서 제출해
군, 운행명령·신규사업자 선정 등 방법 모색
고령 이상우 기자 / 입력 : 2014년 12월 29일(월) 13:58
|
고령-대구노선 교통대란으로 인한 주민 불편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운행손실에 따른 경영적자 누적을 이유로 고령-대구노선 운행업체인 (주)경일여객(대표 서상길)이 지난 22일 고령군에 폐업허가서를 제출했기 때문이다.
대구노선을 운행해온 (주)경일여객은 지난해 기준 하루 평균 약 2,500명을 수송하면서 대구를 오가는 고령주민들의 발 역할을 해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회사측은 대구 시내버스의 환승에 의한 승객수 감소와 유류 및 인건비의 상승 등으로 경영적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 노선에 대한 폐업을 추진해왔다.
22일 폐업허가서가 제출되자 고령군은 23일 부군수 주재의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경일여객 관계자와 면담을 갖는 등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사업자측이 폐업허가서 제출 철회 등에 대한 확실한 답이 나오지 않고 있고 고령군은 만약에 사태에 대비해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령군의 대책안 1안으로 회사측이 제출한 허가서를 반려하고 운행명령을 통한 개선명령을 통해 운행을 지속한다는 것으로 이 경우 노선 폐지로 인한 주민불편을 방지할 수 있지만 운행 후 적자분에 대한 조사 후 손실을 보상해야 한다.
2안으로는 폐업 허가 후 신규사업자를 선정하는 것으로 이 안의 경우 신규사업자 선정 때까지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야 하며, 주민불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3안인 노선을 폐지할 경우 대구시내버스 고령연장 등을 협의한다는 방침이지만 이용객 불편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 대체노선 보강 등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장 대구노선의 교통대란 등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자 측에서 사업중단 조치 등으로 교통불편이 우려될 경우 개선명령 등을 통한 강력한 조치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고령군 관계자는 “가능한 한 주민들의 교통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 사업자측과 원만한 협의를 이루는데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면서도, “현재 군에서는 만일에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에 폐업허가서를 제출한 대구노선 운행업체인 (주)경일여객은 총 15대의 차량으로 대구방향 16개 노선에 하루 총 74회를 운행하고 있다.
|
|
고령 이상우 기자 - Copyrights ⓒ경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
|